도서/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책 정리 - 2(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익명의오리너구리
2023. 11. 28. 23:05
728x90
반응형
- 원시 공산주의는 생산수단으로 인한 생산물의 차이가 발생하면서 막을 내렸다.
- 생산 수단이란 소유자는 한명 이지만 운영을 꼭 소유자가 안해도 되는것
- 부(생산물)의 차이는 권력을 만들었고 권력위 정당성은 종교로 보완했다.
예시로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인지 설명에 몇몇 아쉬운 점이 있다.
공산주의가 생산수단(기술)의 등장 이후 생산물이 생산 되고 나서야 지시관계가 형성되면서 막을 내렸다.
라고 설명했는데, 이미 생산물 혹은 생산기술 간의 공유가 안되는 시점부터 사유재산이 생긴거고 이 부분에서 이미 '공산'주의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는게 맞을것 같다.
생산 수단 역시
소유자는 한명 이지만 운영은 혼자서 못한다
라고 했는데, 그것 보다는 '소유자가 운영을 하지 않아도 생산물이 생산 가능한 것'이 좀 더 맞는 설명 같다. 토지 소유자라고 꼭 일을 안 하는것은 아니지 않은가? 자신이 하지 않더라도 대신 일해줄 지원자가 많은거지..
728x90
반응형